 |
 |
 |
|
 |
|
 |
|
 |
|
 |
|
|
KBS 2TV 수,목 밤 10시 |
연 출 : 홍석구 / 극 본 : 김혜정 | | |
 |
 |
|
* 드라마 <경숙이 경숙아버지>의 신장구 캐릭터는 신기남 명인을 모델로 탄생. |
 |
|
신기남 명인은.. |
임실군 운암(雲岩)면 사량리 1번지 옥정호(玉井湖)의 한 모서리에 살고 있는 신기남씨는 우리나라 장고 가락의 기능보유자이다. 그는 장구채만 들면 신들린 사람처럼 된다. 특히 그의 쇠끈과 배짱이 맞았다하면 못 치는 것이 없다고 한다.
신씨는 자유당시절 전국농악대회에 출전하여 이승만(李承曉)대통령으로부터 개인상을 받았고 제4회 전국대사습 대회에 참가해서는 개인특기상을 받는 등 대회에 출전했다하면 이 분야의 상을 거의 독차지 했다.
그는 어릴때부터 장구에 천부적인 소질을 보였는데 밤낮을 가리지 않고 틈만 있으면 방바닥이나 마루바닥 퉁, 소리나는 것이 있으면 두드려 가락을 익혔다. | | |
장구솜씨는.. |
이 무렵 남원에서 온 김홍집의 장구솜씨는 뛰어나 온 마을 사람들을 흥분속으로 몰아넣었다. 마을의 농악놀이가 끝난후 신씨의 어머니는 김홍집을 집으로 초대, 음식을 대접하고 아들에게 장구를 가르쳐 줄 것을 간청하니 신씨는 이때부터 전통적인 장구를 사사하기 시작했다.
그가 19세 되던 해 김홍집은 사망했으나 이미 그의 기능은 스승인 김홍집을 앞질러 있었다. 이때부터 신씨는 의젓한 기능인의 경지에 도달하여 그에게 많은 문하생이 따르기 시작했다. | |
| |
|
특기는.. |
그는 전국을 누비기 시작했으며 18세 때에는 화중선을 따라 일본 하관과 만주 봉천등까지 가 갈채를 받았다. 그의 장구는 좌우를 가릴 것 없이 능란하게 풀어낸다. 그의 특기는 「엇불임」과 「소삼대삼」이고 단가락은 전국적으로 따라올 사람이 없을 정도로 뛰어났다.
그의 특기중 뛰어난 것은 「다스림」, 「구적놀이」, 「덩덕풍」, 「소삼대상」,「잉어가리」, 「세잔소시」, 「연풍대」 둥의 가락이다. 그의 가장 큰 소망은 「내가 다 이룩하지 못한 가락을 훌륭한 사람들이 계승하여 꼭 이루는것」이라고 했다.
| | |
출처 : 임실향토지 제8호 (임실문화원 발행 1973년) | | |
 |